[미술 정책] 1946년 이후 미술작품, 해외 매매 자유화된다

Jonathan Feel
Published on

1946년 이후 만들어진 국내 미술 작품은 제한 없이 해외로 나갈 수 있게 된다. 현행 법령상(문화재보호법) 제작된 지 50년 넘은 미술품은 정부 허가를 받아야만 해외에 전시나 매매가 가능했다. 이를 바꾸기 위한 법령이 새로 마련되는 한편 고미술품을 포함한 문화유산 보존·환수를 위한 거점이 프랑스에 생긴다.

환수된 문화유산을 담은 기념우표 (제공. 문화재청)
환수된 문화유산을 담은 기념우표 (제공. 문화재청)

문화재청은 특히 ‘과거 유물’이나 ‘재화’라는 느낌을 줬던 문화재라는 용어 대신 ‘유산'(遺産·heritage) 개념을 적용한 체계를 도입한다. 이에 기존 문화재를 ‘문화유산’, ‘자연유산’, ‘무형유산’으로 나누고, 각 유산 특성에 맞는 보존·전승 활동도 지원한다. 문화재청 이름도 ‘국가유산청’으로 바꿔 5월 중 출범한다.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국가가 책임지고 모든 유산을 관리·총괄하겠다는 의미가 담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해외로 유출된 한국 문화유산의 보존·활용·환수, 유네스코 유산 등재 확대 등도 추진된다. 문화재청이 추산한 바에 의하면 과거 외교 선물이나 기증, 불법 유출 등 다양한 이유로 한국에서 유출된 문화유산은 24만6304점이다. 문화재청은 이런 문화유산 중 약 20%가 있는 유럽에서 조사, 보존·활용 활성화를 위해 현재 일본과 미국에 이어 프랑스 파리에 사무소 등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2005년 조선시대 화가 겸재 정선 화첩을 영구대여 방식으로 반환했던 독일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의 한국 사진 소장품 1800여 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 구축사업도 벌인다.

문화재청은 한국 전통문화·대표유산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보다 정확한 관련 정보 제공 및 국제 공동연구 투자사업 등으로 한국 유산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도 모색할 방침이다.

Media Source
Writer
Jonathan Feel
Jonathan Feel

김이준수는 한국 주재 옥션데일리 필진이자 편집자이다. 언론, 사회적경제, 마을공동체, 공정무역 커피업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고 글을 쓰고 있다. 예술이 사회·시대와 동떨어져 있지 않으며, 예술이 지구와 인류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한국의 좋은 작품과 아티스트를 많이 소개하고 싶다.

More in the auction industry